달력

42024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Gray Hustwit's design film series

 

Film Description

 

1. Helvetica

is the feature-length documentary about typography, graphic design and global visual culture. It looks at the proliferation of one typeface, Helvetica,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ypefaces of the 20th century, which celebrated its 50th birthday in 2007, as part of a larger conversation about the way type affects our lives. Helvetica encompasses the worlds of design, advertising,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and invites us to take a second look at the thousands of words we see every day.

 

2. Objectified

Filmmaker Gary Hustwit takes an in-depth look at industrial art and the design processes of some of society's most iconic consumer durables. The film includes interviews with designers from London, Tokyo, Paris and New York including Jonathan Ive from Apple computers and Japanese product designer Naoto Fukasawa.

 

3. Urbanized

The final documentary in director Gary Hustwit's design film trilogy (Helvetica, Objectified), Urbanized features some of the world's foremost architects, planners, policymakers, and thinkers discussing urban design.

 

Who is allowed to shape our cities, and how do they do it? And how does the design of our cities affect our lives? By exploring a diverse range of urban design projects in dozens of cities around the world, from massive infrastructure initiatives to temporary interventions, Urbanized frames a global discussion on the future of cities.

 

 

Film Information

Director - Gary Hustwit

Produced - 2006 / 2009 / 2011

Main Language - English

Countries & Regions - American film

 

 

 

'PORTFOLIO >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VID REPORT  (0) 2012.01.07
ARCHITECTURE SERIES(1-29)  (0) 2012.01.07
Posted by architainer
|


난 누군가가 가진 저마다의 아픔, 슬픔들이 비교될 수 없는 각자에게 절대적인 것이란 말에 그다지 공감하지 않는다.
각자의 처지, 상황에서 겪고, 느끼고, 아픈 그 모든 것들조차 결국은 상대적인 것들에 대한 결과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무엇을 생각하고, 말하고, 고민하고, 아파하는 수많은 것들이 각기 다른 것들이기에 결국 같음이 없어 비교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우린 비슷한 상황, 그 결과들에 빗대어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에 익숙해져 절대성을 결국 상대성을 통해 얻어내려는 오류를 범하며 그 속에서 신음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전부 상대적인 것들에서 온 것들이라면 그것이 절대적이라 말하는 것이 옳을까?

난 그냥 단순하게 바라보고, 이해되지 않는 것들에 대해 굳이 이해한다커니 말하고 싶지 않다.
모르면 모르는 대로, 알게되면 알게된 딱 그만큼만 안다 말하는 것이 내겐 공감인지도 모르겠다.
어릴 땐 참 많이도 속여왔다. 모르면서 마치 아는척, 이해하는 척, 글로 배우고 말로 들은 것을 마치 내 것인양 포장하면 그것이 정말 내 것이 될 수 있을거라고 착각했었다. 꼬마 애가 자기의 잘못을 숨기려 이런 저런 거짓말을 하지만 결국 어른의 눈에는 그 거짓말들이 훤히 다 보인다는 것을 모르는 것처럼.

오늘 본 영화에 등장한 두 주인공은 굳이 애를 쓰며 서로에 대해 알려고 하지 않았지만 친구가 되었다. 
사지마비의 고통을 알아달라 호소하지 않았으며, 두터운 부를 부러워하지 않았다.
남들의 말로 단정짓지 않았으며, 남들의 방식을 따라서 대하지 않았다.
건강한 몸을 부러워하며 자괴감에 빠질까 지레 걱정하며 몸을 사리는 것이 아니라 그 앞에서 미친듯 춤을 췄으며,
유명한 클래식 연주를 커피광고의 배경음악, 톰과 제리 만화음악 정도로 밖에 모른다고 무시하지 않았다.
예술이 인간보다 앞선 유일한 것이라는 안목은 
마구 문질러댄 몇번의 붓질과 흩뿌려 흘러내린 몇번의 물감칠을 재능으로 바라봐 주었으며
면도날로 떠올린 죽음을 수염을 마구 잘라내는 장난으로 지워버리고 귀를 즐겁게 해 줄 사람을 선물해 주었다.    
서로의 상황과 처지를 비교하지 않고 그냥 받아들였고 하나하나 알아가면서 그냥 진심으로 대했다.
진심.

다 알아야 할 필요도 없고, 모르는 걸 아는체 할 필요도 없고,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이해하는 척 할 필요도 없이 
그냥 서로의 다른 생각, 시각으로 솔직하게 대하는 것.
지식의 차이도 문제될 것이 없고, 
문화의 차이도 장애가 되지 않으며, 
지위고하를 막론할 수 있음이다.

말하지 않아도 아는 것이 아니라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

goodbye yale and cornell~^^

'PORTFOLIO > STORY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앓이.  (0) 2012.03.04
여전히 아이.  (0) 2012.02.20
『감응(感應), 정기용선생_ 그의 마지막에 부쳐』  (0) 2011.03.11
Posted by architainer
|

앓이.

PORTFOLIO/STORY BOARD 2012. 3. 4. 03:15
마음과 달리 몸이 먼저 반응을 한다.
하루 꼬박을 앓고 나서야 겨우 일어났다.
하루종일을 누워있어서였을까? 허리가 끊어질 듯 아파온다.

그간 앓던 감기는 이때를 놓치지 않고
다시 나를 집어삼켰다.
배즙, 토봉령, 생강차, 중국차 등 
나름 감기잡는 온갖 약재들도 힘을 못쓰는 듯.
결국 감기와 한달을 함께하고 있다.
 
우연의 일치라고 하기에는 너무나도 절묘한 타이밍에
찾아온 앓이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이제 겨우 처음이다. 
나머지 열번의 이야기가 또 한번 나를 성숙시켜주길 기대해본다.


Dear Min-Gu JANG,

We regret to inform you that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your application, the Admissions Committee is unable to offer you admission to the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  We would like to underscore that the Committee is keenly aware that there are many strong candidates whom we are unable to admit.

We very much appreciate your interest i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and wish you the best in your educational and career pursuits.

Sincerely,                                                                                      

Gail Gustafson and Geri Nederhoff
Directors of Admission
 

'PORTFOLIO > STORY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ouchables.  (0) 2012.03.07
여전히 아이.  (0) 2012.02.20
『감응(感應), 정기용선생_ 그의 마지막에 부쳐』  (0) 2011.03.11
Posted by architainer
|


더이상 눈시울이 붉어질 감정이 사라질까봐 두려웠었나보다.
누구보다 강한 나라며 상황과 환경들에 약해질까 무서웠었나보다.
힘에 겨울 만큼, 차디찬 겨울이니만큼
마음이 차가워질까 그렇게 떨었었나보다.

앞마당 조그만 화단에 동전을 심어두었던 철없던 아이. 
자존심 강하지만 평범했던 아이.
보이기 위해 숨기는 것이 익숙했던 아이.
숨기기 위해 속이는 것이 쉬웠던 아이.

여전히 아이.


어느덧 서른.
또 그렇게 시작.

86년 한장의 사진.




'PORTFOLIO > STORY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ouchables.  (0) 2012.03.07
앓이.  (0) 2012.03.04
『감응(感應), 정기용선생_ 그의 마지막에 부쳐』  (0) 2011.03.11
Posted by architainer
|

DAVID REPORT

PORTFOLIO/ARCHIVE 2012. 1. 7. 15:49
DAVID REPORT_ Design, Culture , business 아이디어에 대한 비평과 트렌드를 분석한 Report


다양한 디자인 전반에 걸친 트렌드들을 분석하고 키워드와 함께 정리한 Report로 건축 분야에만 편중된 시각을
조금 더 넓혀주며 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도와준 자료.
트렌드에 대한 부정적 단면을 얘기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무조건적인 추종이 아니라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는 측면에서는 백 번 강조해도 부족하지 않을 중요한 요소가 아닐까?

'PORTFOLIO >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ry Hustwit's design film series  (0) 2012.04.05
ARCHITECTURE SERIES(1-29)  (0) 2012.01.07
Posted by architainer
|

 ARCHITECTURE SERIES(1-23)

23편+6편, 총 29편으로 구성된 본 시리즈는 학부시절, 현대건축사 수업을 들으며 La Tourette자료는 찾는 중에 우연히 구하게 되어 볼 수 있었던 자료이다. 그 땐 사실 이 자료가 가지고 있는 내용보단 하나하나 힘들게 모아 전체 시리즈를 완성시킨것에 더 뿌듯해 했었던 것 같다.
 
각 작품에 대한 배경과 컨셉, 구성방식, 특징 등을 모형을 통해 보여주기도 하며 그 건축가의 직접적인 인터뷰나 남아있는 기록을 토대로 설명해주기 때문에 하나의 작품을 이해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자료라 생각한다. 
본 시리즈에 담겨진 작품들도 건축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꼭 한번은 공부해야 할만한 것들이어서 추천에 마지않는 자료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자막이 없이 원어로 봐야 한다는 정도이다. (사실 학부시절 자막 작업을 시도해보긴 했지만 짧은 영어실력의 한계로 마무리 하지 못한 것이다.) 시간이 허락하고, 실력이 허락되는 때 즈음 꼭 마무리를 하고 싶은 자료이다.


CONTENTS

1. LE BAUHAUS DE DESSAU :
The Dessau Baubaus
  
- Walter Gropius (1919)
2. L'ÉCOLE DE SIZA : Faculty of Architecture in Porto
  
- Alvaro Siza (1995)
3. LE FAMILISTERE DE GUISE : Family Lodging in Guise
  
- Jean Baptiste Andre Godin (1904)
4. NEMAUSUS 1 : Nemausus 1
  
- Jean Nouvel (1985~1987)
5. LE CENTRE GEORGES POMPIDOU : The Georges Pompidou Center
  
- R. Rogers & R. Piano (1971~1977)
6. LA CAISSE D'ÉPARGNE DE VIENNE : The Vienna Post Office Savings Bank
  
- Otto Wagner (1904~1912)
7. LE BATIMENT JOHNSON : Johnson and Wax Administration Building
  
- Frank Lloyd Wright (1937)
8. LA GALLERIA UMBERTO I : Galleria Umberto
  
- Emanuele Rocco (1887~1891)
9. SATOLAS - TGV : Lyon-Satolas Airport Railway Station
  
- Santiago Calatrava (1994)
10. LES THERMES DE PIERRE : Therme Vals
  
- Peter Zumthor (1993~1996)
11. L'ÉCOLE DES BEAUX-ARTS DE PARIS : Ecole National School of Beaux Arts in Paris
  
- Felix Duban (1830)
12. LE MUSSE JUIF DE BERLIN : The Jewish Museum in Berlin
  
- Daniel Libeskind (1993~1998)
13. L'OPERA GARNIER : The Opera Garnier in Paris
  
- Charles Garnier (1862~1875)
14. LE COUVENT DE LA TOURETTE : The Cloister La Tourette
  
- LE Corbusier (1957~1960)
15. LA CASA MILÁ : The Casa Mila
  
- Antoni Gaudi (1910)
16. L'AUDITORIUM BUILDING DE CHICAGO : Auditorium Building in Chicago
  
- Louis Sullivan & Dankmar Adler (1885~1889)
17. LE CENTRE MUNICIPAL DE SÄYNÄTSALO : Saynatsalo Community Center in Finland
   
- Alvar Aalto (1949~1952)
18. LA SALINE D'ARC ET SENANS : Royal Saltworks at Arc-et-Senans
  
- Claud Nicolas Ledoux (1775~1779)
19. LA MAISON DE VERRE : The House of Glass
  
- Pierre Chareau (1928~1931)
20. LA MAISON DE JEAN PROUVE : The House of Jean Prouve
  
- Jean Prouve (1950~1951)
21. LA MEDIATHEQUE DE SENDAÏ : The Sendai Media Center
  
- Toyo Ito (2001)
22. L'ABBATIALE SAINTE FOY DE CONQUES : Abbey Church of St. Foy in Conques
  
- Abbot Odolric (1050~1120)
23. LE MUSEE GUGGENHEIM DE BILBAO : The Bilbao Guggenheim Museum
  
- Frank O. Gehry (1997)

 

Final list up

 

Architectures 01 Walter Gropius: The Dessau Bauhaus
Gropius' extensive facilities for the Bauhaus at Dessau combine teaching, student and faculty members' housing, an auditorium and office spaces.

 

Architectures 02 Alvaro Siza: The Siza School of Architecture
The buildings of the Porto architecture school are set on a terraced site high above the estuary of the Douro River.

 

Architectures 03 Jean-Baptiste Andre Godin: Family Lodging in Guise
The Familistere forms a town within the town of Guise. It comprises, in addition to a large factory, three large buildings, each four stories high, capable of housing all the work-people.

 

Architectures 04 Jean Nouve: Nemausus 1
In Nimes, France, Jean Nouvel designed a block of tenement houses that looks like a passenger ship. An architectural utopia that pokes fun at the cliches of public housing.

 

Architectures 05 Renzo Piano & Richard Rogers: The Georges Pompidou Centre
The building had many critics upon completion but is now universally hailed as one of the masterworks of "high tech" architecture.

 

Architectures 06 Otto Wagner: The Vienna Savings Bank
The building is regarded as an important early work of modern architecture, representing Wagner's first move away from Art Nouveau and Neoclassicism. It was constructed between 1904 and 1906 using reinforced concrete.

 

Architectures 07 Frank Lloyd Wright: Johnson Wax Administrative Building
Both the Administration Building and the later Research Tower are of brick and glass. The main office work space is articulated by dendriform columns capable of supporting six times the weight imposed upon them, a fact Wright had to demonstrate in order to obtain a building permit.

 

Architectures 08 La Galleria Umberto I
Galleria Umberto is a public gallery in Naples. It was designed by Emanuele Rocco. It was meant to combine businesses, shops, cafes and social life - public space- with private space in the apartments on the third floor.

 

Architectures 09 Santiago Calatrava: Satolas-TGV
The Lyon-Satolas Station is the terminus for the TGV trains connecting the airport to the city of Lyon. 30 kilometers to the south.

 

Architectures 10 Peter Zumthor: The Thermae of Stone
In the 1960s a German property developer, Karl Kurt Vorlop, built a hotel complex with over 1.000 beds to take advantage of the naturally occurring thermal springs and the source, which provides the water for Valser mineral water, sold throughout Switzerland.

 

Architectures 11 Felix Duban: Ecole des Beaux-Arts
Duban's most visible work is the main building of the Ecole, undertaken in 1830. The main building, the Palace of Studies, was designed with integral paintings and interior sculpture for artists' education.

 

Architectures 12 Daniel Libeskind: Jewish Museum Berlin
The design is based on a rather involved process of connecting lines between locations of historic events and locations of Jewish culture in Berlin. Libeskind has used the concepts of absence. Emptiness, and the invisible - expressions of the disappearance of Jewish culture in the city - to design the building.

 

Architectures 13 Charles Garnier: The Opera Garnier
A grand landmark designed by Charles Garnier in the Neo-Baroque style.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architectural masterpieces of its time.

 

Architectures 14 Le Corbusier: The Cloister La Tourette
Sainte Marie de La Tourette is a Dominican priory in a valley near Lyon. France designed by the architect Le Corbusier and constructed between 1956 and 1960. La Tourette is considered one of the more important buildings of the late Modernist style.

 

Architectures 15 Antoni Gaudi: The Casa Mila
Casa Mila, better known as La Pedrera (Catalan for 'The Quarry'), is a building designed by the Catalan architect Antoni Gaudi and built in the years 1906?1910. It is part of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 "Works of Antoni Gaudi".

 

Architectures 16 Sullivan & Adler: Auditorium Building Chicago
The Auditorium Building of Roosevelt University in Chicago, Illinois is one of the best-known designs of Dankmar Adler and Louis Sullivan.

 

Architectures 17 Alvar Aalto: The Community Center of Saynatsalo Finland
The Saynatsalo Town Hall is a multifunction building complex designed by Alvar Aalto, It was completed in 1951. The complex houses the local council, a library, government offices and residential spaces.

 

Architectures 18 Claude-Nicolas Ledoux : The Saline of Arc-et-Senans
The Royal Saltworks at Arc-et-Senans is considered Ledoux's masterpiece. The initial building work was conceived as the first phase of a large and grandiose scheme for a new ideal city.

 

Architectures 19 Pierre Chareu: Maison de Verre
The Maison de Verre (French for House of Glass) was built from 1928 to 1931 in Paris. France. Constructed in the early modern style of architecture, the house's design emphasized three primary traits: honesty of materials, variable transparency of forms, and juxtaposition of "industrial" materials and fixtures with a more traditional style of home decor.

 

Architectures 20 Jean Prouve: The House of Jean Prouve
Jean was born in Nancy. He grew up surrounded by the ideals and energy of his father Victor Prouve's art collective, "l'Ecole de Nancy".

 

Architectures 21 Toyo Ito: The Sendai Media Center
The Mediatheque is located on a tree-lined avenue in Sendai, its transparent facade allowing for the revelation of diverse activities that occur within the building.

 

Architectures 22 The Abby Sainte Foy de Conques
The Sainte-Foy abbey-church in Conques was a popular stop for pilgrims on their way to Santiago de Compostela. in what is now Spain. Its construction was begun on the foundations of a smaller earlier basilica, directed by the abbot Odolric (1031-1065) and completed around the year 1120. It was built in Romanesque style.

 

Architectures 23 Frank O Gehry: The Bilbao Guggenheim Museum
The new Guggenheim Museum Bilbao composition continues a curvaceous, free-form sculptural style that has become a Gehry signature.

 

Architectures 24 The Alhambra
Worried their dynasty would disappear, the Nasrid sultans made the Alhambra a paradise lost. dedicated to poetry and beauty.

 

Architectures 25 The House of Sugimoto
Built in Kyoto in 1743, this traditional Japanese architectural masterpiece portrays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The Sugimoto Residence is built in the traditional wooden Kyoto townhouse style with sliding wooden doors (kyokoushi and dekoushi), inuyarai (which prevents dogs from leaving their "mark") and second-floor windows made in the tsuchinuri (stucco) style.

 

Architectures 26 Adalderto Libera: The Reception & Congress Building Rome
In the most ambitious of the Mussolini regime buildings. leader of Italy's modern movement Adalberto Libera attempted the impossible combination of fascism with modernity. The Palace of Conferences represents the melting of modern technologies and materials with the classic inspiration that was requested during the Fascism.

 

Architectures 27 Kenzo Tange: The Yoyogo Olympic Gymnasiums
For the 1964 Olympic Games in Tokyo. Kenzo Tange designed 2 concrete gymnasiums expressing movement.

 

Architectures 28 Andrea Palladio: The Villa Barbaro (Villa di Maser)
By inventing the villa, a new type of housing, which was half palace and half farm. Andrea Palladio sought to combine aesthetics with utility. This rigorous and innovative approach was to have a lasting influence on Western architecture.

 

Architectures 29 Zaha Hadid: Phaeno Building as Landscape

 

Architectures 1-5 (Box Set) DVD, 2007

Film Description

The Architectures series presents a privileged and unprecedented look at the work of superstar architects and some of their most brilliant creations. Co-produced by the European public television channel ARTE, this series of 5 DVDs looks at architecture and its historical and social functions to reveal its meaning and impact on humanity. 

Each 26-minute film in the series focuses on a single building chosen because of the pioneering role it has played in the evolution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Meticulously filmed, each building is explored in great detail and this in-depth examination highlights all the concerns that confronted the architect from the genesis of the project through to its completion. 

Architectures 1 covers milestones such as Germany's famed Bauhaus and the Georges Pompidou Centre in Paris. It also examines the work of architects Jean Nouvel, Otto Wagner, Walter Gropius, Alvaro Siza, Renzo Piano and Richard Rogers and Jean-Baptiste-Andre Godin. 

Architectures 2 analyses Frank Lloyd Wright's Johnson Wax building, the innovations of the Galleria Umberto I, the luxurious Stone Thermal Baths in Switzerland, and a high-speed train station, Satolas, in Lyon. It also examines the work of architects Santiago Calatrava, Peter Zumthor, Felix Duban, and Frank Lloyd Wright. 

Architectures 3 examines the Jewish Museum of Berlin, designed by Daniel Libeskind, Louis Sullivan's Auditorium Theatre in Chicago, a Dominican convent designed by Le Corbusier, Charles Garnier's Parisian Opera and buildings by Antoni Gaudi and Alvar Aalto. 

Architectures 4 covers the Royal Saltworks of Arc and Senans, the Guggenheim Museum in Bilbao, Jean Prouve's House, the St. Foy Abbey, and the Sendai Mediatheque in Japan. It also examines the work of architects Claude Nicolas Ledoux, Pierre Chareau, Frank Gehry, and Toyo Ito. 

Architectures 5 analyses the Alhambra in Granada, Adalberto Libera's Reception and Congress Building in Rome; the House of Sugimoto in Kyoto, Japan, Zaha Hadid's Phaeno Science Center in Wolfsburg; the Yoyogi Olympic Gymnasium in Tokyo by Kenzo Tange; and the Villa Barbaro by Andrea Palladio. 

 

 

Film Information

Director - Various (Documentary)

Produced - 2007

Main Language - English

Countries & Regions - European Film, French Film, German Film

 

 

DVD Details

Certificate: E Publisher:

Illuminations

Region: 2
Length: 754 mins Cat No: ARC150  
Format: DVD Colour  

 

 

'PORTFOLIO >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ry Hustwit's design film series  (0) 2012.04.05
DAVID REPORT  (0) 2012.01.07
Posted by architainer
|

건축과 영화 ① - 건축가의 자존심

건축가로서의 마지막 자존심,

 

건축이 되어지기까지의 과정속에서

사람을 만나고, 장소를 만나고, 자본을 만나는 일련의 상황들을

풀어나가야 할 책임이 건축가에게 주어져 있음을 느꼈다. 

 

 

영화 마천루는 하워드 록이 자신의 방법으로 

건축가로서 지켜야 할 마지막 자존심을 지켜가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리라.

 

물론 그 자존심이라는 것을 지켜가는 방법들은 다 다를수 있을 것이다.

영화에서의 하워드 록은

그 모습 자체가 조금은 융통성에서 벗어난 자기고집과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에서 비롯된

다소 위험해 보이는 발상으로 그 자존심을 지켜간 것으로 보여졌다.

이는 우리가 흔히 거장이라 일컫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던 모습(건축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

과 일치해 보였다.

 

사람들이 막장드라마를 보며 자신의 모습을 대입하고 투영하여

대리만족과 희열을 느끼는 것과 일반으로

이 영화를 통해 어쩌면 일부 현실에서의 한계와 어려움에서 잠시 피해

하워드 록의 인생격정과 그 결과적인 해피엔딩에 만족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건축가로서의 마지막 자존심을 지키는 자기만의 방법을 

학교 교육에서, 선배의 선험적 경험과 수많은 이야기 속에서

때로는 이번과 같은 영화를 통해서 배워가는 것이 아닐까?

 

대구라는 땅에서 소외된 기회들을 접하고자 서울에 와서

찾아다니고, 듣고, 보고자 했던 작은 노력들이 

또 한번의 생각을 하게 해주고 또 하나를 경험하게 해주는 것 같아

즐겁다. 그리고 또 다른 꿈을 꾸게한다...




건축과 영화 ② - LIFE & STORY

하나의 사건이 기록되어져 가는 과정과

시간의 흐름에 의해 구축되어져가는 결과물의 연속적인 시퀀스는

매우 매력적이었다.

 

그 안에는 삶이 있다.

이야기가 있고 그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있다.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저서「낙천주의 예술가」에서 그려낸 이야기에서도,

노먼 포스터의 다큐「거킨 빌딩」에서 그려진 이야기에서도,

강병국 건축가 선생님의 요양소 「쌘뽈 요양원, 유치원」에서 그려진 이야기에서도

주인공들을 만나고 그들의 삶을 듣는다.

 

배우라는 직업을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살아볼 수 있는 기회라 표현한 어느 배우의 말처럼

건축이라는 직업은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담아내고 이야기의 한 꼭지를 그려내는 일이다.

그래서 더욱 매력적이며 또한 그에 따르는 책임에 의해

성숙해간다.

 

건축가 문훈은 자신의 건축이

새로운 시도와 소위 기발하고 이색적 성향을 나타낸다고해서 

건축자체를 가볍게 여기거나 철없이 그 행위들을 이어가는 것이 아니라,

건축이라는 행위자체에 존재하는 책임이라는 의무에 의해

늘 고민하게 되고 성숙해 간다고 말한다. 

 

건축에서는 모두가 주인공이다.

 

다큐 주연이 요렇게 변했었음 진짜 끝내줬을텐데..ㅋ

쉬어가는 페이지.ㅋ

 





건축과 영화 ③ - Twins

나의 집 짓기

물리적인 집의 의미를 넘어

또 하나의 내가 존재하게 된다는 것,

내가 담기고 또한 나를 닮아가는

집이란 그릇과 물의 모습을 그리게 된다.

 

나의 집을 짓는 일에 있어서의 건축주가 된다는 것은

또 하나의 이야기를 담고

삶을 그려낸다는 것이리라.

 

 

건축을 공부하면서 꿈꾸는

나만의 언어와 방법으로 구축될 나의 집 짓기가

결코 먼 꿈같은 이야기가 아니란 사실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갈 수 있어

가슴 한 껏 부풀 수 있었고 즐거운 시간들이었다.

 

 

개인적으론 아버지의 집 짓기에 당연할 아들 건축주가 아닌

시공비용 절약차원에서 아버지께 고용된 잡부가 되어서

싸게 집짓기에 동원된 기억이 있어서 이 또한 특별한 경험이라 생각한다.

이제 건축을 전공하는 입장에서 견주어 볼 때

아버진 참으로 탁월한(?) 방법으로 말도 안되게 집을 싸게 지으셨던 것 같다.

다행히 설계비에 돈을 들이시고 시공을 손수 사람을 조달(?)하고 지으셔서

개인적으로 깨인 건축주였던 것 같긴 하다.ㅋ

 

작은 추억과

부푼 가슴과

작은 이야기의 주인공으로

오늘도 달린다.^^




건축과 영화 ④ - Metropolis,1927 (Mingu_2009 restoration)?

'건축과 영화' 시간을 통해 영화에 대해 조금씩 알아가면서 관심이 생겨났고,

조금 더 찾아보고자 하는 마음에 블로그 글에 언급된 영화들을 하나하나 찾기 시작했다.

그리고 제일 먼저 구했던 것이 Metropolis란 영화였다.

 

처음엔 최근 2001년도 version을 구하게 되었고, 이것 이외에도 더 많은 version이 있다는 것조차 몰랐었다. 

'건축과 영화'에 참석했던 동생들과 함께 주말에 작업(?)과 더불어 학교에서 보내면서

짬을 내어 영상을 틀었다.

 

그 영상에 담긴 생소한 흑백의 대비와 그 분위기,

배우들의 과장된 몸짓, 표정에 사실 충격 아닌 충격을 받았고,

자막이 없어 원어를 들어야 하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영상 자체의 힘에 빠져들었다.

 

마침 학교 수업중에 독일 표현주의 영화의 특징으로 배웠던 과장된 표정과 모습들을

실제 그 당시의 영상을 통해 접해볼 수 있어서 더 좋았다.

 

지금의 영화들에 비할 수 없는 다른 매력이 분명 있었다.

대사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는 습관에 젖어든 지금의 나에게

다른 전달 통로가 차단된 채 표정과 행동으로 전달되어지는 내용은

단순히 듣고 이해하는 일차원적인 습득의 전달방식을 넘어

보며 느끼고, 상상하고 생각하는 유추의 과정을 통한 일종의 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마치 책을 읽으며 상상의 나래를 펼치던 과정과 같이

시각적인 자극을 통한 새로운 사고의 과정은

더 영화에 빠져들게 하고 더 집중하게 한 것일지도...

 

물론 모든 영화를 그렇게 볼 수 있을꺼란 얘기는 아니다.

하지만 적어도 이 영화에서는 그런 힘을 느낄 수 있었고

오히려 언어의 담(?)이 이를 더 자연스럽게 도왔다.

사전에 영화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봤더라면 나았을까,란 생각이 드는 것도 이런 연유다. 

 

시간이 지나고

Metropolis에 대한 선생님의 글들과 설명들을 통해

더 많은 version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내가 본 것과 조금 다른 version인 Moroder판을

'건축과 영화' 시간에 다시 접하면서

또다른 색깔, 색채를 느낄 수 있었다.

 

내용에 대한 측면은 자막이 그간의 부족함을 채워주었지만

조금은 더 지루하게 느낄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조금 더 친숙하고 쉬운 음악과 배우의 모션과 교묘히 맞아 떨어지는 음악의 악센트는

완성도면을 더 높게 평가하게 해주긴 했지만 어딘가 모른 아쉬움이 남았다. 

 

어쩌면 나는 이 영화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원했다라기보다 

그 영상이 주는 자극에 의한 새로운 나의 version이 만들고 싶었는지 모른다.

이전에 처음 접했던 영상을 통해 내 머리속에 자리잡은 나의 version의 새로운 new version이랄까?

 

이 영화가 수많은 version들로 만들어 질 수 있었던 것은

이 영화가 이런 자극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은 아닐런지...

프리츠 랑 감독이 대단한 점이 이것 때문은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건축과의 연결고리로

과거에 그려진 미래의 모습이 디스토피아적인 경우가 많고

최초의 SF영화라 불리워지는 이 영화에서도 그렇게 그려지고 있는데

지금의 우리가 그리는 미래와 또 다르지 않냐라는 이야기들이 다뤄졌지만

사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먼 훗날의 모습을 유토피아적이든, 디스토피아적이든, 또는 그아닌 다른 모습으로 상상하는 것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 지금 노력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인것 같다.

앞으로의 사회와 시대상들을 예견하는 예언적 자세와 이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개입, 만들어 가고자하는 노력이 건축가에겐,

괜한 사명감에 불타오르는 건축가에겐 더 필요한 자세가 아닐까?

 


난 항상 이런 이상주의자인듯 하다.

현실의 벽 앞에서 좌절해보라는 선배들의 비웃음 앞에서

여전히 하늘을 보며

그래도 난 웃을 거라는 무모한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가는

그런 이상주의자...

 

건축은 그래서 내게 꿈이고 이상이며

과정상의 실패일 뿐 궁극의 성공이고

절대 실망이지 않고 희망이다.

 

- 장민구





건축과 영화 ⑤ - 행복의 건축, 그 마지막 중얼거림.

행복의 건축, 그 마지막 중얼거림입니다.

 

다섯번째 이야기를 마무리(?) 하지 못한채 이런저런 일들로 정신없이 보내다가

서울국제건축영화제를 한다는 이야기에 궁금함에 더하여 가보지 못하는 안타까움에

짧은 한숨과 함게 남겨진 숙제를 마무리 해봅니다.

 

1년을 예상했던 작은 여행이 조금 일찍(?) 마무리되어

다시 대구에 내려와 4학년 2학기를 지내다보니

지난 학기 조금 더 시간을 내어 더 많은 것들에 참여하지 못하고 내려옴에 못내 아쉬움을 갖게 됩니다.

(더욱이 좋은 프로그램들이나 가고픈 행사들이 생기노라면 그 아쉬움은 더욱 커지네요.)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한학기라는 시간을 조금 다른 장소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함께하며

듣고, 보고, 말하고, 배운 하나하나의 생활들이 돌이켜 바라보니 보약이었음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건축과 영화'는 제게 작은 꿈과 도전을 갖게 해줬음에 생각하면 흐믓하고 감사할 따름입니다.

 

어찌보면 척박한 지방(?)이라는 꼬리표는 시간적 제약이 사라진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더이상 의미없음에도 불구하고 왜 이리도 지워지지 않는 어색함인지...

부족하지만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고픈 마음이, 함께 느끼고 생각하고 싶은 마음이

답답함을 넘어 강한 욕구로 솟구쳐 제게 작은 꿈이되어 도전하게 되는 듯 합니다.

 

좋은 선생님을 모시고 직접 함께 하는 시간을 갖고 싶지만

여력(?)이 되지 않기에 함께 마음모은 동생과 시작해볼까 합니다.

짧은 영어실력을 백분 살려 자막작업도 해보고,

추천해주신 좋은 영화들도 구해보며 포스터를 제작할 맘에 미소도 지어봅니다.

설계과제더미 속에서 헤엄치면서도 틈틈히 자막번역작업에 매달려도 보고,

영어 좀 한다는 녀석들에서 공갈협박(?)으로 일부 작업을 떠넘기기도 하면서

그렇게 힘을 모으며 하나하나 준비해 갑니다.(그러다보니 시간이 많이 걸리긴 하지만...)

 

가슴이 뛴다는 것을 느끼는 것이 행복이기에,

가슴이 뛰는 설계를 하고 싶다는 꿈이 있기에,

지칠만큼 달려봅니다. 잠시 앉아 쉬고 다시 달리고자 끈을 고쳐 묶습니다.

 

마지막 학년을 준비하면서 현실적인 문제들에 고민하면서도

꿈을 생각할 수 있음에 감사하고

걱정보다 앞선 즐거움을 찾고, 가슴 뜀을 경험하기에

행복이라 감히 이름합니다.

 

건축문화학교에서 느낀 애정(?)이

척박해질뻔한 마음을 뛸수 있게 해주었음에 감사드립니다.

 

소통의 장에서 베푸신 하나하나에 감사드리며

나 또한 또 하나의 소통의 통로이길 기대해봅니다.

 

마지막 글을 마무리하면

마지막일꺼 같아 미루었다는 핑계 아닌 핑계를

이제는 끝낼 때인거 같네요.

 

행복의 건축, 제겐 가슴떨림입니다.

강병국 선생님, 칭찬 감사드립니다.

책 선물해주신 홍선희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웃으며 반겨주신 신현승(?)님도 감사드려요~

 

행복하소서~~~


Posted by architainer
|

_SKETCHES

PORTFOLIO/DESIGN WORKS 2011. 3. 12. 23:13

Posted by architainer
|


서울에서 내려온지 만 하루가 되기전 그의 마지막을 알리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지난 전시회를 통해 마지막으로 접한 그는 이제 더이상 이곳에 없다.
개인적 친분이랴, 감히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존재였을지 모르나 그를 기억하는 바 내겐
존경에 마지않는 몇 안되는 건축가였다.

불연듯 그가 내 이름을 또박또박 불렀던 하나의 사건이 기억이 난다.
2009년 봄, 서울대학교에서 교류학생으로 지내던 중 대학원 주최의 강의에 참석했더랬다.
목이 잠겼다며 마이크로 말문을 여시던 그의 모습이 그를 실제로 만난 첫 대면이었다.
지금에야 기억이 잘 나지않지만 분명 그는 내 이름을 부르며 이야기의 한 꼭지를 이어나갔었다.
장민구...그저 지나가는 말 한마디가 오늘 이렇게 기억 날 줄 누가 알았으랴,

잡지에 실린 글을 통해 처음 '정기용'이란 이름 석자를 기억하기 시작했었다. 그가 무엇을 지었는지, 어디서 공부를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았다. 그저 글 속에 묻어난 그 사람이 날 강하게 자극했고 그냥 그렇게 나도 모르는 새 그를 동경하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故 노무현 대통령의 사저를 지은 사람... 
노 전대통령이 서거한 후 세상을 향해 던진 그의 독백에서 조차 나 스스로를 돌아보며 부끄러움를 가지게 한 그는
오히려 그에게 빠져들 수 밖에 없었던 내 눈이 정확했음을 다시 확인시켜준 하나의 사건일 뿐이었으리라.

잠시 그의 글을 다시 읽어본다.




 5월 23일 토요일 하루 종일 찌푸린 하늘아래 가랑비가 흩뿌린다. 비극적 소식을 접하고 하루 종일 가슴이 애린다. 끊임없이 눈물이 고인다. 통곡할 수밖에 없는 이 큰 슬픔과 놀라움 속에서 하루가 지난 오늘새벽까지도 부엉이바위는 내 눈앞에 나타나 나의 시야를 흐리게 한다. 믿을 수 없는 것을 믿어야하고, 지금 떠나서는 안 되는 분을 떠나보내는 사람들의 심경을 어떻게 다 말로 표현할 수 있겠는가? 그래도 꼭 그렇게 해야 한다면 오늘 나는 고백해야만 한다. 그동안 가슴속에 꾹꾹 참아왔던 이야기들을 털어놓아야만 하겠다. 
 
 지난 2년 반 동안 나는 노무현대통령의 봉하마을 사저를 설계하고, 봉하마을 계획들을 옆에서 거들어 오면서 수많은 대화를 나누었다. 한마디로 말해서 노무현대통령은 건축가의 입장에서 보면, 참으로 훌륭한 건축주이셨다. 집짓기를 위한 회합을 거듭할수록 계획안은 점점 나아졌고, 서로 간에는 드디어 신뢰와 공감이 생겨났고, 퇴임 후 사저로 입주한 후에도 이런저런 일로 찾아뵙고 또다시 봉하마을 생활 속에서 피어난 꿈의 계획들을 들을 수 있었다.

 나는 두 가지를 마지막 가시는 길을 위해 밝혀야만 한다. 한 가지는 세상 사람들이 TV카메라에 비친 모습만 바라보는, 바라볼 수밖에 없는 사저에 관한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대통령이라기보다는 귀향한 한 농촌인으로서 농부 노무현이 꿈꾸던 소박한 세계를 알리는 것이다. 오늘의 이 비통함과 가슴 저리는 심경 속에서 우리가 갖춰야 되는 최소한의 예의는 고인에 대해서 끈질기게 널리 퍼뜨렸던 왜곡된 사실들을 바로잡아 주는 것이 꼭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봉하마을의 사저는 내가 설계했기 때문에 건축가인 내가 제일 잘안다. 그런데 항간에서는 봉화아방궁이라는 말로 날조해서 사저를 비하하는 정도가 아니라 악의마저 엿보이게 했다. 도저히 참을 수 없는 나는 대통령에게 내가 나서서 기자회견을 해야겠다고 간청했다. 그러나 그래봐야 아무소용이 없으니 참으라고 하셨다. 나중에 다 밝혀질 일이지만 내가 설계한 대통령의 사저는 재료로 말하자면 흙과 나무로 만든 집이다. 그리고 아방궁이 아니라 불편한 집이다.
 
 처음 만남에서 농촌으로 귀향하는 이유를 대통령은 아름다운 자연으로 귀의하는 것이 아니라 농촌에서 농사도 짓고 마을에 자원봉사도 하고, 자연도 돌보는 일을 하고 싶다고 하셨다. 그래서 나는 그렇다면 도심아파트 같이 편하게 살아서는 안 되고, 옛날 우리조상들이 안채와 사랑채를 나누어 살았듯이, 한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할 때는 신을 신고 밖으로 나와서 이동하는 방식의 채 나눔을 권유하였다. 한 공간에서 모든 것이 편리하게 배치되어 있는 도시의 집과 달리 식사를 하거나 집무실로 이동할 때마다 봉화산을 바라보거나 공기 내음을 맡으면서 농촌에 살고 있음을 환기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에 대통령은 흔쾌히 동의 하셨다. 흙집에다가, 도시 사람으로는 살기에 불편한 집. 그러나 품위가 있고 자연과 조화로운 집, 그런 집을 결과적으로 원하신 셈이다. 그리고 경호원들과 비서진들의 공간은 너무 떨어뜨리지 말고 한 식구처럼 생활하도록 주문하였다. 집이 다소 커져 보이는 문제는 있지만 그래도 경호동을 안채와 붙여서 비서진들과 경호원들을 배려하는 마음을 나는 중정형의 집으로 화답한 셈이다.
 
 그렇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 나라에서 권위주의를 물리치고 민주주의를 확장한 분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세상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것은 사람들에 대한 배려이다. 건축가는 안다. 건축주가 누구이며 집을 통해 무엇을 실현하려는지. 노무현 대통령은 결국 “지붕 낮은 집”을 베이스캠프로 삼아 봉하마을 주민들의 농촌소득 증대사업을 유기농법으로 전환시키고, 봉화산과 화포천 일대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치유하며,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을 위한 생태교육의 장을 만들고자 하셨다. 재임시절 풀지 못한 숙제 중 하나인 농촌의 문제를 스스로 몸을 던져 부닥치려는 대통령의 의지는 퇴임 후 일 년 내내 쉴 새 없이 지속되었다. 앞으로 마을뒷산 기슭에 ‘장군차’도 심을 예정이었고, 마을 마당 앞뜰에는 마을특산물매장도 꾸리고 노무현표 브랜드 쌀도 팔 계획도 세웠다. 특히 장터 지하 쪽에 작은 기념도서관 건립도 꿈꾸고 계셨다. 민주화운동시절 당신이 가까이했을 수밖에 없었던 민주주의에 관한 책들, 당시의 젊은이들의 양식이 되었던 모든 책들을 모아 작지만 전문적인 민주주의 전문도서관을 구상하고 계셨다. 농사도 짓고, 자연과 생태를 살리고, 나아가서는 작은 동물농장을 봉화산자락 부엉이 바위 밑에 만들어 청소년들과 함께 하려는 생각들이 바로 인간 노무현대통령이 꿈꾸던 소박한 꿈들이었다. 그리고 틈틈이 폭넓은 독서에 빠져 통치시절을 정리하며 집필 작업에 임하셨다. 독서와 토론은 노무현 대통령이 봉하마을에서 즐기던 값진 삶의 한 부분이었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을 뒤로하고 대통령은 결국 우리 곁을 떠나셨다.

 그것은 내 탓이다. ‘산은 멀리 바라보고 가까운 산은 등져야한다’는 조상들의 말을 거역하고 집을 앉힌 내 탓이다. 봉화산 사자바위와 대통령이 그토록 사랑하던 부엉이 바위 가까이에 지붕 낮은 집을 설계한 내 탓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보자. 노무현 대통령이 목숨을 던져 우리들에게 남긴 질문들을.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이 애통함 속에서 한 마디의 단어, 그것은 ‘순교’이다. 한국 현대사 속에 심연처럼 가로놓인 질곡들, 멍에들, 허위의식들, 인간의 탈을 쓴 야수성들. 이 모든 것을 안고 간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을 나는 순교라고 밖에 달리 부를 말이 없다. 나는 부엉이 바위 밑에 작은 동물 농장의 그림을 보여주기로 한 약속을 못 지킨 채 지금 봉하마을로 내려간다. 노무현 대통령은 지금도 바로 거기에 계시므로.

정기용/건축가



그는 이제 세상에 없다. 그의 죽음이 누군가에겐 가슴 절절한 아픔이기도, 또한 슬픔이기도 할 것이다.
티끌만한 관계에 이리 시간을 쓰며 그를 애써 기억해 내는 나같은 사람도 있으리라.
후일에 그의 아들이 그 아비의 궤적으로 좇아 하나의 다큐멘터리를 만든다면 또 한번 기억할 수 있으려나.
건축가 정기용은 이제 세상을 등지고 떠나갔다.

그의 전시회를 다녀온뒤 차일피일 미루며 전시후기조차 정리하지 못한 난
오늘에서야 이렇게 한조각 흔적을 기록한다.
언젠가 그가 말한 인간이 먼저된 건축가가 되어 그를 다시 한번 기억하고 싶다.

일전에 담아두었던 그의 강의를 함께 올려본다.
용량의 한계였던가, 배터리 문제였던가 끝까지 담지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오늘에서야 정리되어 남겨지는 소중함이랄까?
기록으로 수고한 오래된(?) 근호의 카메라에 고마움을 전한다. 
전시회 사진은 다음 기회에 정리해서 올려 보리라 또 한번 미루면서 글을 마친다.  






三病一藥

건축가의 3대 병

첫번째 병은 문화병
두번째 병은 대가병
세번째 병은 유토피아병

병은 세가지지만 약은 하나다.
그 약은 '현실'이다.
현실은 타협할 대상이 아니라 우리가 섬세하게 읽어야할 텍스트다.

삶을, 땅을, 시대를 바라봐야 해...

                                                                             강의 中에서...


'PORTFOLIO > STORY BO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ouchables.  (0) 2012.03.07
앓이.  (0) 2012.03.04
여전히 아이.  (0) 2012.02.20
Posted by architainer
|

[SPACE 2011년 1월]



[PLUS 2011년 1월]




[UNStudio, Lecture at Center City from VMSPACE on Vimeo]



Posted by architainer
|